728x90

복원 6

EFS 복원

1. 복원할 EFS 선택 - 복원 시 실패를 했었는데 확인해 보니 액세스 정책에 ackup:StartRestoreJob 삭제해야 진행이 가능했음. 2. 백업 복원 선택 - 소스 파일 시스템의 디렉터리에 복원 : 덮어쓰기 하지만 덮어쓸 이전 EFS가 없으면 오류가 발생함 - 새 파일 시스템에 복원 : 새로운 EFS를 만들어서 복원(리소스 이름은 정할 수 없다) 3. 복원 후 네트워크 영역 추가 - 네트워크 부분을 등록해야 DNS 이름이 사용 가능함 (해당 부분이 있어야 mount가 가능) 4. 복원한 EFS 확인 - 복원 후 EFS mount 하면 aws-backup-restore_복원날짜 라는 이름의 폴더를 확인할 수 있는데 해당 폴더 안에 데이터가 백업된 걸 확인 할 수 있음 참고로 총 크기 용량은 복..

S3 복원

1. AWS Backup > 백업 볼트 > 복구 시점 > 복구 시점 ID 선택 2. 작업 > 복원 선택 3. 복원 유형, 복원 대상, 복원된 객체 암호화 선택 - 원본 버킷으로 복원 : 현재 버킷 덮어쓰기 - 기존 버킷 사용 : 기존에 생성된 버킷 사용 - 새 버킷 생성 : 배킷을 새로 생성해서 복원 4. 복원 진행 확인 추가적으로 AWS Backup > 작업 탭을 선택하면 백업/복원 작업 등의 history도 확인이 가능하다.

NAS 복원(Classic 기준)

스냅샷 복원은 덮어쓰기임. 1. 복원할 스냅샷 선택 후 복구 클릭 - 복구한 스냅샷 이후에 생성된 스냅샷은 삭제되고, 해당 스냅샷과 이전에 생성된 스냅샷만 보관됨 - 특정 볼륨 스냅샷의 삭제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스냅샷은 삭제되고 그만큼 스냅샷 용량이 확보 2. 확인 스냅샷 복원 전 : test.txt 존재 파일 삭제 후 파일 조회 : test.txt 없음 스냅샷 복원 후 : test.txt 복원

Object Storage 복원(Classic 기준)

반대로 Archive Storage에서 Object Storage로 복구가 필요한 경우 23.04 기준 자동으로 복구하는 기능은 없다. Archive Storage에서 직접 오브젝트를 다운로드하여 Object Storage로 업로드하는 방법 뿐이다. 다만 직접 오브젝트를 다운로드하고 업로드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NCP에서 제공하는 CLI, API, SDK를 통해 빠르게 복원하는 방법이 최고인 것 같다.

Server image 복원(Classic 기준)

1. 복원할 Image 선택 후 "서버 생성" 선택 2. Zone, 세대, 타입 등 선택 3. 인증키 설정(보유하고 있는 인증키 or 새로운 인증키 생성) 4. 네트워크 접근 설정(신규 ACG or 보유하고 있는 ACG 사용) 5. 서버 생성 확인 ※ 참고사항 백업받은 image로 서버 생성 시 다른 IP로 서버가 생성되므로 기존에 운영 중인 서버와 IP가 겹치거나 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IP가 다르게 생성되더라도 image에 포함되어 있는 솔루션에 세팅된 IP가 겹치면 운영에 지장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