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Backup 및 Restore

EFS 복원

babbeolicoding 2023. 4. 20. 22:19

1. 복원할 EFS 선택

  - 복원 시 실패를 했었는데 확인해 보니 액세스 정책에 ackup:StartRestoreJob 삭제해야 진행이 가능했음.

 

2. 백업 복원 선택

 - 소스 파일 시스템의 디렉터리에 복원 : 덮어쓰기 하지만 덮어쓸 이전 EFS가 없으면 오류가 발생함

 - 새 파일 시스템에 복원 : 새로운 EFS를 만들어서 복원(리소스 이름은 정할 수 없다) 

 

3. 복원 후 네트워크 영역 추가

  - 네트워크 부분을 등록해야 DNS 이름이 사용 가능함

     (해당 부분이 있어야 mount가 가능)

 

4. 복원한 EFS 확인

 - 복원 후 EFS mount 하면 aws-backup-restore_복원날짜 라는 이름의 폴더를 확인할 수 있는데

   해당 폴더 안에 데이터가 백업된 걸 확인 할 수 있음 

 

참고로 총 크기 용량은 복원 직후도 6KiB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용량도 바뀐다.

'AWS > Backup 및 Resto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복원  (0) 2023.04.21
S3 복원  (0) 2023.04.19
온디맨드(on-demand) 백업  (0) 2023.04.18
예약 백업 생성하기(S3, EC2, EFS 등)  (0)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