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ommand 3

remote server 패스워드 입력 없이 sudo command 사용(shell에서 사용하기)

원격 서버에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은 ssh 통해 접속 후 명령어를 치거나 ssh {hostname}@{password} "command"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해당 방법을 사용하여 명령어를 쓰면 password를 직접 입력해줘야 해서 shell에서 사용하기 어렵다. 이런 경우 해결 방법이 있다. 1. sudo 명령어가 아닌 경우 sshpass를 사용하면 패스워드를 미리 입력해서 원격 서버 command를 날릴 수 있다. (sudo apt-get install sshpass 명령어를 치면 설치가 가능하다) sshpass -p {password} ssh -t {hostname}@{server_ip} "ls" 2. sudo 명령어가 필요한 경우 이 경우는 sshpass + sudo -S 옵션을 사..

Linux 2023.08.17

Command probe 적용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Probe를 체크하는 방법이 3가지가 있었는데 그중 Command로 Probe를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 봤다. Command probe 성공 : Command 실행 후 결괏값이 0이면 정상 실패 : Command 실행 후 결과값이 0이 아니면 실패 readinessProbe or livenessProbe 적용 readinessProbe: exec: command: - /test/probe/probe.sh test shell 파일 생성 후 테스트 - 권한이 없는 경우 chmod 777을 통해 권한 추가 필요 #!/bin/bash exit 0 소켓 or 스레드 개수를 확인 후 true / false 체크 #!/bin/bash #소켓 결과 RESULT=$(ls /proc/1/f..

Kubernetes 2023.05.31

Pod Lifecycle(readiness,liveness Probe)

kubelet이 각 컨테이너의 상태를 특정 조건으로 주기적으로 체크한 뒤 문제가 있는 pod를 자동으로 재시작하거나 문제가 있는 pod를 서비스에서 제외해서 네트워크 유입을 막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을 probe 구성이라고 한다. probe를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2가지가 있다. 1. readinessProbe - 프로브 수행 후 실패하는 경우 pod가 재시작되지 않고 해당 pod를 서비스에서 제외시켜 네트워크 유입을 막는다. 2. livenessProbe - 프로브 수행 후 실패하는 경우 pod가 재기동된다. Probe를 체크하는 방법 1. HTTP probe 성공: get 요청을 보내서 return이 200~300 사이면 정상 실패: 그 외의 값이 return 되는 경우는 비정상 readiness..

Kubernetes 2023.05.30
728x90